일본 언론들이 한국의 정의기억연대 논란을 의도적으로 확대해 보도하며 최근 제기된 일본 내 검찰과 언론의 유착 의혹을 덮으려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일본 게이센여학원대 이영채 교수는 오늘(22일) TBS '김어준의 뉴스공장'과의 인터뷰에서 "일본 극우 언론들이 지난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에서 당사자인 피해 할머니들을 배제한 것은 일본 정부가 아니라 정의연이라는 논리를 펴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극우 성향 언론으로 꼽히는 산케이신문은 최근 정의연과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등을 두고 이어지는 논란을 대대적으로 보도하며, "해당 단체들의 부정적인 목적과 실태가 드러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문재인 정권이 '한·일 위안부 합의'를 파기한 것과 정의연이 고발당한 내용은 관련이 있다"며 윤미향 정의연 전 대표에게 비난의 화살을 돌렸습니다.
이 교수는 "(일본 언론의 주장은) 한·일 관계 악화의 책임은 일본이 아니라 (정의연 등) 합의에 반대한 단체에 있다는 것"이라며 "이번 기회에 정의연을 해제시키겠다는 의도를 명백하게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일본 보수언론이 원래 한국 보수언론과 맥락을 같이하지만, 이번에는 최근 일본 내에서 제기된 검언유착 의혹을 덮기 위한 목적도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아베 정권의 최측근이자 차기 검찰총장으로 사실상 내정됐던 구로카와 히로무 도쿄고검 검사장이 '마작스캔들'에 휘말려 어제(21일) 사임했습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긴급사태가 선포된 와중에 마작을 한 것으로 드러났는데, 함께 한 사람 중에는 산케이신문과 아사히신문 기자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 교수는 "정권과 검찰, 보수언론의 삼각 유착 관계가 이번에 명확하게 드러나 아베 정권에 치명적인 타격이 됐다"며 "산케이신문은 이 사실을 은폐하기 위해 정의연 기사 등 물타기성 기사를 급격하게 만들어낸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이 교수는 "일본 언론들의 이러한 의도적인 '정의연 의혹 보도'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또 "일본에서 쟁점을 만드는 방송들도 혐한 인사들을 전면에 내세워서 정의연 문제 등을 거론하기 시작했다"며 "아베 정권 지지율이 하락하고 있기 때문에 다시 '혐한'을 쟁점으로 만들기 위한 움직임이 시작되었다고 봐야 한다"고 분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