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관련 산업에 대해 어떤 관점에서 접근할 것인지에 대한 논쟁이 심화되고 있는데요.
관련 업계 종사자들과 동물보호단체가 한자리에 모여 해법 찾기에 나섰습니다.
채해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경기지역에서 반려동물을 기르는 가구는 150만 가구가 넘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전국의 동물 생산 판매업과 동물 경매장 6천백여 개 가운데 33%인 2천여 개가 경기도에 몰려있습니다.
반려동물 산업에 대한 해법을 찾기 위해 경기도가 자리를 만들었습니다.
반려동물 업계 종사자들과 동물보호단체는 생산자와 판매자의 자격을 지정할 수 있는 면허제 도입에 한목소리를 냈습니다.
【 인터뷰 】우연철 대한수의사회 사무총장
"판매하는 사람들 시설을 가지고 (규제) 안 된다면 면허제 도입해야 한다. 면허가 없으면 처벌받고…."
하지만 반려동물 관련 산업과 유통에 대한 동물보호단체와 종사자들의 시각차는 뚜렷했습니다.
동물보호단체는 대규모 번식장이나 경매장을 통한 동물 착취를 반성하고 반려동물의 유통 시스템의 개선을 요구했습니다.
【 인터뷰 】조희경 / 사단법인 동물자유연대 대표
"쉽게 사고 파니까 유기동물도 발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고, 펫샵에서 쉽게 살 수 없게 하는 규제는 결국은 보호소에서 입양해서 살 수밖에 없게하는 문화로 정착됩니다."
반면 동물 판매와 유통업자들은 반려동물 유통 시스템에 대한 비판보다 국가 기준의 필요성을 제기했습니다.
【 인터뷰 】이경구 / 한국반려동물협회 사무국장
"펫샵의 판매업장도 자격을 강화하자는 주장을 계속 해왔고, 논의의 시간이 없었습니다. 생산업에 표준 견사기준이 없어 현 상황을 끌고가는 것처럼 (유통업 역시) 기준도 논의도 없었습니다."
경기도는 개 사육 농장에 대한 실태 조사를 추진하는 한편 동물 보호와 산업 모두 상생할 수 있는 방안 모색에 나설 계획입니다.
TBS 채해원입니다.
#반려동물 #산업 #생명 #경매장 #경기도
▶TBS 뉴스 유튜브로 보기
http://asq.kr/7amnNcyreA7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