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열탕 바다', 동해 오징어가 서해로 간 이유는?

정선미 기자

tbscanflysm@tbs.seoul.kr

2021-08-24 09:47

프린트 312

  • 【 앵커멘트 】

    우리나라의 대표 수산물 중의 하나 오징어, 여름부터 가을까지가 제철이죠.

    사람들은 보통 오징어 하면 동해를 떠올리는데, 여름엔 오히려 동해에 오징어가 없고 서해산 오징어가 풍년이라고 합니다.

    오징어가 잡히는 곳이 달라진 이유가 기후 위기와 관련이 있다고 하는데,

    자세한 내용, 정선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 자 】
    육지는 아직 고요한 새벽 6시.

    오징어 잡이 배들이 줄지어 들어오는 작은 항은 분주함이 가득합니다.

    수천마리의 오징어를 낚은 배 수조에서는 끊임없이 오징어가 퍼 날라지고.

    활어회 차 수조는 더 이상 오징어가 들어갈 수 없을 정도로 꽉 찼습니다.

    오는 동안 살지 못하고 죽은 오징어는 박스에 담겨 옮겨지는데, 위판장에는 박스가 산을 이룹니다.

    【 스탠딩 】
    "여기 있는 상자의 대부분이 오징업니다. 이곳은 동해가 아닌 서해의 신진항인데요. 바다 수온이 높아지면서 서해에 오징어가 풍년입니다."

    전국 각지의 배들이 오징어를 잡으러 서해로 몰렸습니다.

    【 인터뷰 】장승현 선장/ 제주 대광호
    "여기서 배 타고 한 7~8시간 나가요, 서쪽으로. 저희는 원래 조기 잡는 배인데 조기 금어기가 8월 10일까지라 그게 끝났으니까 조기 있다면 제주도 가려고요"

    【 현장음 】이배술 선장/ 포항 아진호
    "오늘? 마리 수 한 4천 마리.
    (많은 편에 속해요?) 많이 잡았지.
    오징어는 비가 많이 오고 수온도 올라가고 하면 빨리 커요. 빠닥빠닥 커요. 올해는 장마가 일찍 끝나고 이래도 워낙 오징어 숫자가 엄청난 거라요. 내가 봤을 때 마리 수가 한 30만 마리 났어, 하루에."

    【 인터뷰 】박금자 / 신진항 상인
    "이게 7월 1일부터인가 작업을 했어요. 그러면 10월까진 활어차도 오고 와요. 전국 차가 다 오죠. 하루에 6-70대 와요, 활어차가. 그러면 물량을 다 가져가지. 지금 이 오징어가 강원도로도 가요. 강원도가 안 나니까."

    오징어는 동해산만 알고 있던 40년차 주부도 서해산 오징어가 신기합니다.

    【 현장음 】
    "(서해에서 오징어 나는 줄 알았어요?)
    몰랐어요, 동해만 나는 줄 알았지.
    많네요, 오징어가. 밤에 오징어 배도 들어가더라고요."

    서해 쪽 오징어 어획량이 늘기 시작한 건 이미 2015년부터.

    【 인터뷰 】김중진 박사 / 국립수산과학원
    "최근 2015년 이후 서해에서 오징어가 주로 어획되는 여름철 수온이 평년에 비해 1~3℃ 높게 관측되고 있는데요. 주로 동중국해와 남해에 서식하던 오징어가 높은 수온을 따라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서해에 집중적인 어장이 형성되는 것으로..."

    난류성 어종인 오징어가 자신이 살기 좋은 수온을 찾아 움직인 겁니다.

    최근 53년간(1968년~2020년) 우리나라 바다 온도는 1.12℃ 상승했습니다.

    같은 기간 전 세계 바다 수온이 0.53℃ 올랐으니, 우리나라는 2배나 껑충 뛴 건데요,

    서해 1.15℃, 남해 0.85℃ 그리고 동해는 1.61℃가 올랐습니다.

    동해의 오징어 어획량은 2000년대와 비교해 2010년대 40%나 줄었는데, 바다가 뜨거워지면서 생태계를 유지하는 식물 플랑크톤에 변화가 생긴 것이 연구 결과 드러났습니다.

    먹이 사슬에 의해 결국 오징어의 먹이도 부족하게 된 거죠.

    【 인터뷰 】이충일 교수 / 강릉원주대 해양자원육성학과
    "(바다) 온도가 올라가면 (오징어의) 대사 작용이 활발해집니다. 결국 에너지 소비가 많아진다는 건데, 많아진 에너지 소비를 다시 먹이를 통해서 채워야 하는데 그런데도 먹이가 부족하게 되면…. 오징어 입장에서는 고수온이 되면 그 장소를 피해서 조금 더 온도가 낮은 서늘한 장소로 이동을 하는 게 생존 전략으로 선택할 수 있는…."

    추운 겨울철 동해에서 잡히던 냉수성 어종인 명태는 우리나라에서 이미 사라진 지 오래.

    냉수성과 온대성 어종이 잡혔던 우리나라 바다에서는 점점 열대성 어종까지 출몰하고 있고, 여름철이면 낮은 온도에서 양식하던 어패류와 어종들 폐사 소식이 잇따릅니다.

    【 인터뷰 】이준수 박사 / 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올해 같은 경우는 고수온 특보제를 시작한 2017년 이후로 가장 빨리 고수온 주의보가 발령 되었고
    지금도 서해 일부 제외한 전국 대부분의 연안에 고수온 주의보와 경보가 발령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이렇게 고수온이 발생하게 되면 높은 수온 때문에 강도다리라던지 넙치(광어), 조피볼락(우럭), 전복과 같은 양식 생물들이 폐사를 하게 되고…."

    바다가 뜨거워지는 것은 단순히 우리 식탁의 물고기가 바뀌는 것의 문제만은 아닙니다.

    바다는 수십억 년 동안 대기의 열과 이산화 탄소를 흡수해 지구의 균형을 맞췄습니다.

    지구 평균 온도는 최근 100년간 약 1.09도 상승했는데, 뜨거워진 열 에너지 대부분(90% 이상)은 바다에 흡수되고 있습니다.

    【 인터뷰】남성현 교수 /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2020년 한 해 동안에만 바다에 흡수된 열 에너지는 매 1초마다 원자폭탄을 4개씩 폭발하는 정도의 에너지에 해당한다. 결국 비열이 커서 잘 데우기 어려운 바닷물의 수온도 상승하게 되었고, 오늘날 해양 곳곳에서 해표면 수온은 물론 심해 수온까지 상승 중이다."

    뜨거워진 바다가 팽창하면서 해수면도 급격히 올라가고 있습니다.

    여기에 빙하가 빠르게 녹아내리며 해수면 상승을 가속화시키고 있죠.

    지구 해수면은 1960년대 후반부터 상승하기 시작했는데, 상승 속도는 점점 빨라지고 있고 2100년이 되면 1m, 2300년까지 7m, 그리고 우리가 더 많은 양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면 15m까지 높아질 수도 있습니다.

    전 세계 인구의 1/10 이상은 해수면에서 10m 남짓 높은 해안 지역에서 살고 있습니다.

    달궈진 바다는 태풍도 몰고 옵니다.

    【 인터뷰 】반기성 센터장 / 케이웨더
    "바닷물 온도 상승이 지구 대기(에) 주는 영향은 엄청나게 크죠. 바다 온도가 1도 오를 경우 대기 습도는 7% 정도 상승합니다. 엄청난 폭우를 퍼붓고 강력한 슈퍼 태풍을 만들어 내는데요, 최근 몇 년간 발생한 슈퍼 허리케인은 바닷물 온도가 급상승한 '해양 핫스팟'에서 발생했습니다."

    지난 12일 새로운 내용이 공개된 유엔 IPCC 보고서는 온실 기체를 줄이는 노력에도 한동안 해수면은 상승하고, 바다의 온난화는 멈추지 않을 거라고 경고합니다.

    바다를 뜨겁게 만드는 지구 가열을 막지 않으면, 명태에 이어 오징어도 우리 바다에서 사라지는 일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TBS 정선미입니다.

    ▶TBS 뉴스 유튜브로 보기
    http://asq.kr/7amnNcyreA7wP

    #서해오징어_풍년 #동해오징어 #어종변화 #바다온난화 #해수면상승 #온실가스영향 #슈퍼태풍 # #IPCC 보고서 #기후위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제공 tbs3@naver.com / copyrightⓒ tbs.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312 카카오톡 페이스북 링크

더 많은 기사 보기

개인정보처리방침  l  영상정보처리기기방침  l  사이버 감사실  l  저작권 정책  l  광고 • 협찬단가표  l  시청자 위원회  l  정보공개

03909 서울특별시 마포구 매봉산로 31 S-PLEX CENTER | 문의전화 : 02-311-5114(ARS)
Copyright © Since 2020 Seoul Media Foundation TB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