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를 들어 덴마크에서 풍력 발전을 한 번도 개발해 본 적이 없는 신규 사업자가 있다고 했을 때 저희 에너지청에 찾아오시면 기존에는 주무 부처와 그리고 어민 협회 간 이러 이러한 논의가 있었고 이런 식으로 해결해줬다는 식으로 지식을 전달하면서 그런 논의들이 잘 진행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맡고 있다고 봐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원스톱 숍'을 활용한 결과 덴마크에서 해상풍력 단지 인허가를 받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은 평균 34개월.
유럽 평균인 42개월에 비해서도 짧고 한국에 비하면 절반 수준입니다.
한국의 경우 발전사가 직접 풍황 계측, 해양환경 조사 등을 통해 입지를 발굴한 뒤 인허가 절차를 밟고 주민 설득까지 해야 합니다.
【 인터뷰 】김종화 위원장/ 풍력학회 풍력산업발전 전략위원회(전 한국전력공사 해상풍력 사업단 초대단장
"앞서나가고 있는 덴마크나 독일이나 영국이나 사례를 잘 보면 우리 정부가 확실한 컨트롤타워 역할을 해야 하고 이런 부분에 대한 정부의 의지 또 각계각층의 노력 연대와 협력이 정말 필요하다 그렇게 봅니다"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해결해야 할 또 다른 문제는 바로 주민 수용성.
덴마크에서는 주민을 사업의 주체로 참여시켜 주민 수용성을 확보한 곳도 있습니다.
덴마크의 수도 코펜하겐 앞바다에 위치한 미들그룬덴 해상풍력 단지.
덴마크 미들구룬덴 해상풍력단지 <CG=TBS>이곳 해상풍력 단지는 주민 약 8,500명의 지분 참여를 통해 만들었고 50%의 지분을 주민이 갖고 있습니다.
초기에 반대가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1차 토론회 직후 천여 명의 주민들이 어획량 감소 우려와 경관 문제로 시위에 참여했습니다.
【 인터뷰 】한스 크리스티안 쇠렌센/ 덴마크 미들그룬덴지역 주민조합 이사회 이사
"사람들을 초기 단계부터 참여시켜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야 사람들이 '내가 참여하고 있구나'라는 것을 체감할 수가 있고 거기에 사람들이 50% 지분을 갖출 수 있다는 점도 저희가 설명을 드렸습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 사람들의 긍정적인 의견을 모아갈 수 있었습니다"
현재 인천에서 추진 중인 해상풍력 단지 또한 외부 자본에 의한 수익 창출은 지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 인터뷰 】강희찬 교수/ 인천대학교 경제학과
"인천 시민들이 이득을 얻을 수 있게 해야 합니다. 마치 외부인이 와서 여기서 돈 벌어가는 그런 식으로 해서는 인천 시민들이 절대로 수용할 수 없거든요. 그렇지 않으면 아무 의미가 없어지는 겁니다"
투명한 정보공개와 의견 조율을 통해 조성된 미들그룬덴 풍력발전 단지.
이곳에서 생산된 전력은 코펜하겐 전체 전력의 약 4%를 공급하고 있고 주민들은 많게는 연간 11%까지 수익을 배분받았습니다.
【 현장음 】곽자연 기자/ bodokwak@tbs.seoul.kr
"이렇게 해상풍력 단지가 지속 가능하기 위해서는 주민 참여형 사업이 활성화돼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합니다. 덴마크 미들구룬덴에서 TBS 곽자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