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경기도도 폐기물 소각시설 '발등에 불'

채해원 기자

seawon@tbs.seoul.kr

2021-11-05 00:02

프린트 79



  • 【 앵커멘트 】
    소각시설 확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경기도도 마찬가지입니다.

    2026년 폐기물 직매립 금지에 맞춰 소각시설 신·증설을 추진중인 기초지자체들도 꽤 있는데, 이제야 부지선정에 들어가거나 분쟁조정에 휘말린 지자체도 있습니다.

    경기도 소각시설 확충 계획은 어디까지 진행됐는지 채해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경기도 광주시에서 이천시로 향하는 길, 광주시 소각시설 신설에 반대하는 현수막이 줄줄이 이어집니다.

    광주시는 음식물자원화시설이 있는 수양리에 하루 250톤을 태울 수 있는 소각장 등 종합폐기물 처리시설을 지난 2017년부터 추진중입니다.

    예정부지와 이천시 신둔면까지 거리는 불과 1.8km.

    이천시 주민들은 동의 없이 소각시설 신설이 추진된 데 문제를 제기하고 있습니다.

    이 문제는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조정절차까지 갔고 결국 재협의 판단이 내려졌습니다.

    이천시 주민들은 이미 광주시도 함께 쓰는 광역소각장이 있고 증설도 추진중인데, 왜 새로운 시설이 필요한지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 인터뷰 】김화영 공동위원장 / 광주시 소각장 설치 반대 이천시 비상대책위원회
    "이천시(광역 소각시설)에서 5개 지자체 것을 10여 년 이상 감내하면서 쓰레기를 태워 왔잖아요. 그러면 신설하는 게 맞습니까, 여기 동참하는 게 맞습니까."

    소각시설이 세워지는 마을 주민 일부도 절차상 문제가 있었다며 님비가 아니라고 말합니다.

    【 인터뷰 】이영애 위원장 / 광주시 수양리 소각장 설치 반대 비상대책위원회
    "소각장이 들어온다면 주민들이 모여서 설명회를 들어보고, 동네에 이익이 뭐가 있고 피해가 무엇인지 알아야 하는데, 그런 게 전혀 없었어요. 여태까지 저희는 냄새를 맡고 살았잖아요. 지금 (기피시설이) 처음 들어오는게 아니잖아요."

    광주시는 신설 절차를 밟아온 만큼 원점 논의는 어렵단 입장입니다.

    【 인터뷰 】 광주시청 관계자 (음성변조)
    "절차들이 쭉 흘러온 게 있어서 소각시설을 다른 위치에 하기에는 많은 시간이 지체되기 때문에, (시설 이전 등은)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이처럼 폐기물 직매립이 금지되는 2026년까지 새롭게 소각장을 세우려는 경기도 기초지자체는 광주시를 포함해 모두 4곳.

    이 중 3곳은 시일 안에 완공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화성시는 이제야 입지선정에 들어갔고, 하남시는 교산 신도시에 짓겠다는 기본계획만 있습니다.

    【 인터뷰 】 A시 관계자 (음성변조)
    "2028년까지 완공하는 걸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그나마 있는 시설을 늘리겠다고 밝힌 지자체들은 상대적으로 원만하게 진행 중입니다.

    다만 과천시는 이제야 기본계획 용역을 진행 중인데다 주민설명회와 환경영향평가 등 남은 절차가 많아 제때 완공할 지 미지수입니다.

    게다가 소각시설이 대단지 아파트가 들어서는 지식정보타운 인근에 있어 반대 여론이 형성되고 있습니다.

    더 큰 문제는 수원시와 부천시와 같이 주민들의 거센 반발에 2026년 이후에도 소각시설 확충 계획이 불투명한 지자체들이 있다는 겁니다.

    밀어붙일 수도, 주민 여론만 의식할 수도 없는 상황에, 지자체들의 고민은 더해지고 있습니다.

    TBS 채해원입니다.

    #쓰레기 #소각장 #경기도 #2026년까지 #증설계획 #폐기물처리시설 #직매립금지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반입금지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제공 tbs3@naver.com / copyrightⓒ tbs.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79 카카오톡 페이스북 링크

더 많은 기사 보기

인기 기사



개인정보처리방침  l  영상정보처리기기방침  l  사이버 감사실  l  저작권 정책  l  광고 • 협찬단가표  l  시청자 위원회  l  정보공개

03909 서울특별시 마포구 매봉산로 31 S-PLEX CENTER | 문의전화 : 02-311-5114(ARS)
Copyright © Since 2020 Seoul Media Foundation TB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