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공공기관이나 기업 등을 사칭한 허위 전화주문, 이른바 노쇼 사기로 400억 원이 넘는 피해가 발생했지만, 검거율은 1%가 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찰청이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박정현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를 보면,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전국에서 2,892건의 노쇼 사기가 발생했습니다.
이로 인한 소상공인·자영업자 피해액은 414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지만, 범인이 검거된 사건은 전체의 0.7% 수준에 불과했습니다.
노쇼 사기는 공공기관·기업 등을 사칭해 대량 주문을 하며 선결제·대리구매를 유도한 후 현장에 나타나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