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위기의 순간 제기능 못한 '스마트도시' 서울 [우.동.라.썰]

정진명 기자

jeans202@tbs.seoul.kr

2022-11-21 06:29

프린트 90
  • ▷ 지금 우리 동네는? 지역을 들끓게 하는 뜨거운 이슈를 풀어놓습니다. [우리동네 라이브 '썰']



    "CCTV가 저희가 위험한 상황일 때 도움을 준다는 게 인상 깊었어요" (장윤지/ 오산시 갈곶동)




    "스마트 화재 알림 기계를 설치하니까 이제 안심하고 퇴근할 수 있게 됐습니다"(정훈/경기도 시흥시)


    국민은 오늘도 장밋빛 청사진을 그리고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면서 나온 '스마트도시(시티)' 때문입니다. 스마트도시는 건설ㆍ정보통신기술 등을 융ㆍ복합된 도시기반시설을 바탕으로 제공하는 도시서비스를 말합니다.


    서울시도 '2040 서울플랜'을 통해, 이 사업을 추진했습니다. 2018년 정부에서 '스마트도시 조성 및 산업진흥 등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했습니다. 서울연구원의 '서울시 스마트시티(도시) 주요 사업 실태와 발전방안' 보고서를 보면, 서울시는 2011년부터 10여 개 부서에서 전체 40여 개 사업이 추진될 만큼 시가 노력했고, 특히 안전과 복지 분야는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나 최근 10.29 참사가 일어나면서 그동안 자부했던 성과의 빛이 바랬습니다.



    ■ 스마트도시 개념은 계속 발전한다?

    스마트도시 개념은 한 번에 정의 내리기가 어렵습니다. 고정된 개념으로서 특정 종착점이 아니라 맥락에 따라 정의되는 과정을 말하기 때문입니다. 시대별로 도시계획과 신기술이 달라, 도시화 초기인 산업혁명 때는 식수와 에너지 부족, 하수처리와 교통체증 문제 등을 해결하는 것이 스마트 도시의 목표였지만, 2022년 현재는 기존 도시의 효율성을 증진하고 거버넌스 시스템을 개선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윤서연 서울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사실 스마트시티 개념이 진화하고 있어서 지금 시점에 무엇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앞으로 무엇이 될거다'라고 정의내리기는 힘들다"고 말했습니다. 윤 부연구위원은 "2000년 초반부터 논의돼 도시 기반 시설을 유비쿼터스하게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이 강했다"며 "처음에는 도로, 가로등 등 도시기반 시설에 컴퓨터 기능이 내장된 인프라를 만들었지만, 현재는 생활의 편리함을 주는 데이터를 이용하고 공유하는 것이 스마트도시 형태"라고 강조했습니다.

    ■ 왜 스마트 도시여만 하는가

    이전 세대만 하더라도 무엇이 필요하면 직접 해야만 했습니다. 옷이 필요하면 가게가 문 여는 시간에 가서 쇼핑해야 하고, 어디로 이동하려면 버스나 택시 등을 잡아서 타야만 했습니다. 이제는 스마트폰 하나로 모든 활동을 할 수 있는 시대가 됐습니다.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집에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을 통해 물건을 살 수 있고, 타다나 카카오택시 앱으로 차를 불러 이동할 수 있습니다. 시민들은 소비의 편리함을 통해 삶의 질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시간이 부족한 시민들이 편안하게 사회 인프라와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돕는 스마트도시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시민들의 삶에서 함께 하고 있는 '스마트도시'

    안전을 비롯한 주거, 교통, 기후 등 도시가 안고 있는 문제를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서울 성동구, 경기도 시흥시, 오산시 등 수도권 지역은 자치구별로 스마트도시 기술을 개발하며 이용하고 있었습니다.


      
    지난 2018년 국토교통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데이터 기반 스마트도시(시티) 실증도시로 선정한 경기도 시흥시는 에너지·환경·복지 등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신 산업을 도시에 적용하는 리빙랩 형태를 추진하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붐비고 가연성 물건이 많은 전통시장에서 일어날 수 있는 화재 위험을 경기도재난안전본부와 소방서와 함께 정보를 공유하고 관리했습니다. 기존 화재감지기와 달리, 조그만한 불꽃에도 사물인터넷이 달린 센서가 민감하게 감지하고 이를 점주와 관계기관에게 정보가 가는 선제적 대응력이 눈길을 끌었습니다. 또 미세먼지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해 대기질을 관리하는 기술을 이용하는 모습도 '도시의 효율성'을 극대화시켰습니다.


    오산시도 방범용 CCTV, 주정차CCTV 버스정보 시스템 등 스마트 관제 시스템을 갖춘 스마트시티 통제운영센터를 운영해 교통 혼잡부터 범죄 발생까지 해결하고 있었습니다. 특히 서울 성동구는 인근 초등학교 아이들의 참여를 이끌어 '안전통학로 리빙랩'을 구축했습니다. 이는 정부나 지자체의 관리 체계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닌 시민 참여를 통해 관리의 사각지대에서 발생하는 경우의 수를 줄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 미래 세대로 하여금 참여 민주주의의 중요성을 인식시킨 사례입니다.

    ■ 시민과 마을 중심의 재난 안전술이 필요하다. 



    TBS가 스마트도시 사업을 하고 있는 수도권 지역 내 지자체 4곳을 취재하면서, 스마트도시 사업의 현주소와 성과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런 화려한 기술력을 갖췄음에도 불구하고, 이번 10·29 참사는 일어났습니다.'설마 무슨 일이 있겠어’ 안전불감증 부재로 기술을 활용하고 관리하는 능력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이를 뒷받침해주는 건 사고 당시 CCTV는 국가 재난관리시스템과 연계되지 않았고, 서울 주요 지역의 실시간 혼잡도를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도 활용되지 못한 것입니다. 올해 1억 4천 여만원 예산이 투입됐지만 도움이 되지 않은 것입니다. 이에 대해,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 16일 열린 서울시의회 정례회에서 "이번 참사를 계기로 112와 119 신고를 어떻게 통합해서 관리할 지에 대한 논의에 들어갔다"며 "인공지능(AI)이나 지능형 폐쇄회로 TV를 도입해 보완하는 것을 논의하고 있다"고 답변했습니다.



    조병완 한양대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명예교수는 "지난 8월 시간당 142mm 폭우가 내린 강남 침수만 봐도 이제는 자연재해, 인재 등 예측하기 힘든 상황이 증가하고 있다"며 "사람보다 먼저 인지하는 사물인터넷 등 스마트도시 기술을 이용해 미리 재난안전 서비스를 구축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조 교수는 정부와 지자체에서 강구하는 안전대비 플랫폼도 중요하지만 시민이 적극 참여할 수 있게 메타버스, 블록체인 등을 활용해 환경을 조성하고 데이터활용 시스템을 만들어 운영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취재기자: 김훈찬, 정진명)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제공 tbs3@naver.com / copyrightⓒ tbs.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90 카카오톡 페이스북 링크

더 많은 기사 보기

우리동네 추천 기사

인기 기사



개인정보처리방침  l  영상정보처리기기방침  l  사이버 감사실  l  저작권 정책  l  광고 • 협찬단가표  l  시청자 위원회  l  정보공개

03909 서울특별시 마포구 매봉산로 31 S-PLEX CENTER | 문의전화 : 02-311-5114(ARS)
Copyright © Since 2020 Seoul Media Foundation TB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