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행 여수신 금리 추이<자료=한국은행> 우선 인플레이션 압력을 나타내는 다양한 근원 지표들이 높은 수준에서 하방 경직성을 보여 앞으로 인플레이션 하락 속도에 불확실성이 크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주택가격이 여전히 소득수준과 괴리돼 고평가됐고, 가계부채 비율도 높은 수준"이라며 "정부 규제 완화 등의 영향으로 가계부채 상환과 축소가 지연될 가능성에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아울러 "경상수지 적자 흐름이 이어지는 가운데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금리를 추가 인상하거나 국내 통화정책 기조가 조기에 전환될 경우에는 환율 상승 압력이 다시 커질 수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레고랜드 사태'와 같은 '유동성 위기'의 불씨도 아직 살아있다는 판단도 내놓았습니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하반기 이후 부동산업 대출 비중이 큰 비은행 금융기관의 기업대출 연체율이 빠르게 상승하고, 프로젝트파이낸싱 유동화증권 관련 위험 노출액이 큰 증권사와 건설사에 대한 신용 경계도 지속되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향후 통화정책 방향에 대해서는 "국내 경제는 낮은 성장세를 이어가겠지만, 물가 상승률은 상당 기간 목표 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되고 정책 여건의 불확실성도 크다"면서 "물가 안정에 중점을 두고 긴축 기조를 상당 기간 이어 나갈 것"이라고 예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