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

자율주행 배달 로봇, 동행자 없이 진짜 혼자 다닌다

강인경 기자

strongk@tbs.seoul.kr

2022-07-29 19:42

프린트 67

  • 라이더 대신 음식을 배달해주는 자율주행 배달 로봇, 비대면 사회에 적격인 서비스로 크게 성장하고 있는데요.

    최근 인천국제공항에선 탑승 게이트 좌석이나 안내 책자에 있는 QR코드로 식음료를 주문하면 배달 로봇이 고객이 있는 곳으로 배달해주는 서비스를 시범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 서울 서초동의 한 편의점에서는 배달 로봇이 인근 아파트 단지와 사무실로 물건을 배달해주는 서비스를 시행하기도 했죠.

    실제 수원 광교 아파트 단지에서 시범 운영된 배달 로봇으로 음식을 받아 본 소비자는 "생각보다 배달 속도가 빨랐고, 코로나로 대면 서비스가 부담스러웠는데 비대면으로 안전하게 배달돼서 좋았다"며 만족감을 드러내기도 했습니다.

    곧 서울 강남 테헤란로에는 '테헤란로 로봇 거리 조성사업'이 조성돼 식음료 매장과 대단위 빌딩에서 11대의 서비스 로봇이 서빙이나 배송을 하게 됩니다.

    시범 운영 단계라 그런지 도로 위를 다니는 배달 로봇을 찾기가 쉽지는 않습니다.

    아직 배달 로봇이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어서인데, 그 이유는 바로 각종 규제들이 가로막고 있기 때문입니다.

    우선 도로교통법상 로봇은 차로 분류돼 있어 인도와 횡단보도 통행이 불가능합니다.

    지금 시범 운영 중인 배달 로봇은 2019년 12월부터 규제 유예제도인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보도나 공원, 승강기 통행을 일부 허용받았습니다.

    대신 현장 요원이 배달 로봇을 따라다니는데요.

    자율주행 로봇이라고는 하지만 만에 하나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동행자와 같이 다니게 한 겁니다.

    또 로봇은 30kg 이상 되는 동력장치로 공원녹지법상 공원에 출입할 수 없습니다.

    생활물류법상으로도 택배를 전달할 수 있는 운송 수단은 이륜차와 화물차로만 제한돼 있어 택배 전달용으로도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이뿐인가요. 배달 로봇에는 장애물을 인식해 피할 수 있게 카메라를 장착해야 하는데 개인정보보호법상 영상 저장이 제한돼 있습니다.

    영상 데이터를 통해 인공지능을 학습해 머신러닝을 해야 하는데 이것저것 걸리는 문제들이 많은 상황입니다.

    [배달 로봇으로 배달 받는 고객 <사진=뉴시스>] 


    정부는 그동안 배달 로봇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는데, 어제(28일) 경제규제혁신 TF에서 이 같은 방침을 다시 밝혔습니다.

    일정한 안전성 기준을 충족한 자율주행 로봇(배달로봇 등)은 관리자가 동행하지 않아도 자율적으로 인도를 주행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정부는 이를 위해 올해 4분기까지 지능형 로봇법을 개정하고, 내년에는 도로교통법을 개정해 본격적으로 배달 로봇이 실외를 주행할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당장에는 로봇을 완전 원격으로 관제할 수 있는 기업에 대해 로봇을 따라다녀야 하는 현장요원을 두지 않아도 되게끔 자율주행 로봇의 실증특례 부가조건을 완화했습니다.

    로봇 원격 관리자를 책임 관리자로 지정해 여러 대의 로봇을 관리할 수 있게 한 겁니다.

    원격관리자를 책임자로 지정해 다수의 로봇을 관리할 수 있도록 되는 건데요.

    다음 주 중 서울 강서구 마곡동 일대에서 현장 요원 없는 자율주행 로봇이 도로를 누비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실외용 이동 로봇의 주행을 위한 국내 표준화 작업도 한창입니다.

    현재는 서비스로봇 국제 표준으로 이동 로봇의 안전성을 검증하고 있는데, 국제 표준은 탑승형 로봇부터 입는 로봇이 포함된 모든 서비스 로봇을 포괄하고 있고 이동형 로봇에 특화된 표준은 없는 상태입니다.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은 실외 이동 로봇을 위한 국내 표준을 만들어 안전성을 검증할 계획입니다.

    전문 서비스용 로봇 시장은 4,600억 원 규모로 최근 2년간 40% 넘게 성장했습니다.

    한 시장조사 기관은 전 세계 서비스 로봇 시장이 2024년 1,220억 달러, 약 158조 원까지 치솟을 것으로 내다봤는데요.

    규제 개선을 통해 내년에는 도로 위에서 더 많은 배달 로봇을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제공 tbs3@naver.com / copyrightⓒ tbs.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67 카카오톡 페이스북 링크

더 많은 기사 보기

개인정보처리방침  l  영상정보처리기기방침  l  사이버 감사실  l  저작권 정책  l  광고 • 협찬단가표  l  시청자 위원회  l  정보공개

03909 서울특별시 마포구 매봉산로 31 S-PLEX CENTER | 문의전화 : 02-311-5114(ARS)
Copyright © Since 2020 Seoul Media Foundation TBS. All Rights Reserved.